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목구조기술사 도전기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구조역학 제3문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구조역학 제3문은 비대칭 단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을 계산하는 문제로 구조역학 과목에 출제되었지만 제 기준으로는 재료역학 과목에 해당됩니다, 물론 언젠가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국가고시에서 출제되는 구조역학, 재료역학, 응용역학의 구분은 모호하며 사실상 세 과목은 동일한 과목입니다. 비대칭 단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 문제는 기술고시와 구조기술사 시험에 몇차례 출제된 적이 있기 때문에 특별할 것은 없습니다만 이 문제는 비대칭 단면과 비대칭 하중, 그리고 수평축과 경사를 이루는 주축에 대한 좌표계 변환이 추가됩니다. 사실 이런 문제는 공식을 외우는 것만으로도 수험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데 거기에 좌표계 변환까지 더해져 실수하기가 굉.. 더보기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구조역학 제2문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구조역학 제2문은 연속보의 소성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그런데 등변분포하중 조건과 등분포하중이 절반반 재하된 조건이 주어져 그동안 출제된 연속보의 소성해석 문제중 가장 난이도가 높습니다. 다만 CE보의 경우 소성힌지가 지간의 중점인 D점에서 발생한다고 주어졌기 때문에 그나마 조금 수월하게 풀 수 있습니다만(실제 소성힌지는 D점이 아닌 D점과 E점의 사이에 발생할 것입니다.) AC보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는 B점까지의 길이 e를 구하는 것이 사실상 관건입니다. 토목구조기술사 115회 4교시 3번 문제도 굉장히 어렵게 출제된 소성해석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그 문제와 토목구조기술사 92회 2교시 4번과 섞어놓은 문제 형태로 보여집니다. 더보기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철근콘크리트공학(건축) 제2문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철근콘크리트공학(건축) 제2문은 상당히 독특하면서도 어려운 문제입니다. T형 단면의 복철근 보는 휨부재에 주로 등장하는 형태인데 이 문제는 특이하게 휨부재가 아닌 압축부재입니다. 압축부재에서 단면이 비대칭이니 우선 소성중심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통상적인 P-M 상관도를 그리는 문제가 아니라 단면 상연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축에서 정방향과 부방향 최대 공칭휨모멘트와 이에 상응하는 공칭 축력을 구하는 문제라 솔직히 출제자의 의도를 잘 모르겠습니다. 며칠동안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해 봤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X-X 축이 중립축(C)일 때 휨모멘트와 축력을 구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 같습니다. 문제 형태도, 단면도 굉장히 생소해 시험장에서 만났다.. 더보기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철근콘크리트공학(건축) 제1문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철근콘크리트공학(건축) 제1문은 I형 단면 복철근 보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인장측 철근이 2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효깊이를 제시하였기 때문에 최외단 인장측 철근의 변형률을 계산하여 강도감소계수를 구해야 합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3번 건축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3번 문제는 콘크리트의 전단설계입니다. 저에게 있어 콘크리트의 전단설계는 수험기간동안 일종의 '계륵'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잊을만 하면 한번씩 간간이 출제가 되니까 무시하자니 뭔가 찜찜하고 그렇다고 공부를 해도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외워야 할 공식과 수치가 많아 시간이 지나면 금방 까먹거나 그 값이 헤깔리는게 빈번했기 때문입니다. 휨설계, 기둥설계와 달리 전단설계는 외워야할 공식이 많은데 출제빈도는 휨설계, 기둥설계보다 적다는게 단점입니다. 그래서 보통 시간적 여유가 날때 한번씩 정리를 했다가 시험보기 하루전쯤 기억해야할 공식과 수치를 다시 떠올리거나 아예 나올 가능성이 적은 시험에서는 패스하곤 했습니다. 이제는 여유있게 오픈북(?)으로 공식과 수치를 봐가며 풀이를 하니 그럭저.. 더보기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6번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6번은 프리스트레스를 받는 단순보의 응력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PSC의 대표적인 문제형태로 과거에도 수차례 비슷한 유형이 출제되었습니다. 더보기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2교시 6번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2교시 6번은 한계상태함수의 신뢰도지수(β, Reliability Index)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도로교설계기준이 한계상태설계법으로 변경된 이후부터 파괴확률에 기초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등장하는 것이 신뢰도지수인데 토목구조기술사 105회에 처음으로 출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내용이나 계산은 어렵지 않지만 관련된 참고서적을 찾기 어렵고 문제가 낯설어 수험생들이 많이 어려워하는 분야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아래 나열된 신뢰도지수 관련 기출문제들을 참고해 보시면 토목구조기술사 116회 1교시 13번과 거의 유사한 문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토목구조기술사 105회 2교시 2번 문제 - - 토목구조기술사 112회 2교시 2번 문제 - - 토목구조기술사 116회 1교시 13.. 더보기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2교시 4번 토목구조기술사 118회 2교시 4번은 지점침하가 있는 3경간 연속보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보통의 경우 지점침하 문제는 연속보의 지점중 하나에만 침하가 발생하는데 이 문제는 모든 지점에 침하가 발생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매트릭스 변위법으로 풀이하였습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