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목구조기술사 도전기/건축구조

건축구조기술사 122회 2교시 1번 건축구조기술사 122회 2교시 1번은 철근콘크리트의 휨강도에 관한 문제입니다. 철근콘크리트 휨강도 문제는 대부분 직사각형 단면으로 주어지고 설계휨강도를 구하는게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데 이 문제는 단면이 직사각형이 아닌 철(凸)자형 단면이고 휨강도가 아닌 소요 철근량을 산정하는 문제입니다. 단면의 형태가 직사각형이 아닌 경우 단면이 변화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a값이 그 점 이내인지 이후인지를 가정하여 풀이하여야 합니다. 요철(凹凸)형태의 단면은 간간히 출제되는데 단면 형태와 관계없이 원리만 알면 큰 어려움 없이 풀이가 가능합니다. 건축구조기술사 103회 2교시 4번 문제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출제된 적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21회 4교시 4번 건축구조기술사 121회 4교시 4번은 풍하중이 작용하는 간판의 설계 문제입니다. 3차원 구조이기 때문에 풍하중으로 인해 수직응력과 전단응력, 그리고 비틀림응력이 작용하는 조합응력 문제이기도 하지요. 베이스플레이트 위치에서 상하좌우 4개의 지점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을 모두 구한 뒤 주응력을 계산해야 간판의 안정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문제가 오래전 토목구조기술사 94회 2교시 5번으로 출제된 적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2교시 3번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2교시 3번은 연속보해석에 관한 문제인데 풀이를 지정해서 출제하였습니다. 강성매트릭스 = 강성도법 = 매트릭스 변위법이고, 연성매트릭스 = 유연도법 = 매트릭스 응력법이라는 사실은 공부를 조금만 하신 분이면 다 알 수 있는 내용이며, 매트릭스 변위법은 제 주종목이지만서도 이렇게 특정 풀이를 지정하여 출제하는 것은 언제나 그렇듯 반대입장입니다. 연속보이지만 1자유도이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은 없습니다만 친절하게 전체강성매트릭스까지 알려줬는데 매트릭스 변위법을 공부하지 않은 수험생에게는 무쓸모일 것이며, 공부를 한 수험생에게도 역시 무쓸모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4교시 1번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4교시 1번은 소성형상계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단면계수와 소성계수의 정의만 알면 어려움 없이 풀이가 가능합니다. 소성형상계수와 관련된 문제는 토목구조기술사 보다는 주로 건축구조기술사에 자주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단독으로 출제되기 보다는 소제목의 부분문제로 출제됩니다. 예전에 출제된 문제를 같이 올리니 참고하세요.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3교시 2번 건축구조기술사 120회 3교시 2번은 회전스프링으로 연결된 기둥의 좌굴하중을 구하는 안정론 문제입니다. 이번 120회 시험에서는 토목구조기술사와 건축구조기술사에 나란히 안정론 문제가 하나씩 등장했네요. 오래전 건축구조기술사 85회 4교시 3번 문제로 비슷한 형태가 출제된 적이 있는데, 85회 문제는 120회 문제와 달리 3개의 기둥 길이가 모두 달라 조금 더 어렵습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3번 건축구조기술사 118회 4교시 3번 문제는 콘크리트의 전단설계입니다. 저에게 있어 콘크리트의 전단설계는 수험기간동안 일종의 '계륵'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잊을만 하면 한번씩 간간이 출제가 되니까 무시하자니 뭔가 찜찜하고 그렇다고 공부를 해도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외워야 할 공식과 수치가 많아 시간이 지나면 금방 까먹거나 그 값이 헤깔리는게 빈번했기 때문입니다. 휨설계, 기둥설계와 달리 전단설계는 외워야할 공식이 많은데 출제빈도는 휨설계, 기둥설계보다 적다는게 단점입니다. 그래서 보통 시간적 여유가 날때 한번씩 정리를 했다가 시험보기 하루전쯤 기억해야할 공식과 수치를 다시 떠올리거나 아예 나올 가능성이 적은 시험에서는 패스하곤 했습니다. 이제는 여유있게 오픈북(?)으로 공식과 수치를 봐가며 풀이를 하니 그럭저..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7회 3교시 3번 건축구조기술사 117회 3교시 3번은 등변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와 트러스가 결합된 복합구조 형식의 구조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그림도 낯이 익고 크게 어렵지 않을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이 문제를 풀이하기 위해 한참의 시간이 걸렸네요. 우선 문제 조건에서 보의 단면적만 제시되어 있고 트러스의 단면적이 없습니다. 처음 생각으로는 보의 단면적이 아닌 트러스의 단면적을 잘못 기재한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즉, 보의 축방향 강성이 무한대여서 C점의 수직처짐만 발생하고 수평처짐은 발생하지 않는거라 생각했습니다. 최소일의 정리와 매트릭스 변위법으로 각각 계산해봤는데 계속 답이 틀리게 나오더라구요. 과거 문제를 찾다보니 토목구조기술사 81회 2교시 2번에 거의 유사한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었습니다. 이 문제 또한 B점의 ..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7회 4교시 1번 건축구조기술사 117회 4교시 1번은 면진장치로 인한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고유주기) 변화를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구조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여 고유주기를 늘려 상부구조의 응답을 줄인다는 개념에서 기존에 출제된 건축구조기술사 89회 4교시 2번 문제와 유사합니다. - 건축구조기술사 89회 4교시 2번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