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 도전기/건축구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건축구조기술사 114회 3교시 1번 건축구조기술사 114회 3교시 1번 문제는 철근콘크리트 문제를 가장한 재료역학 문제입니다. 이번 건축구조기술사 114회 시험에서 가장 재미있는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이전까지 한번도 출제된적이 없는 유형이나 내용을 파악하면 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변형일치법을 이용하여 풀이하였습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4교시 6번 (2017. 2. 8.)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4교시 6번 문제는 편심하중이 존재하는 기둥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편심이 발생하거나 초기 결함이 있는 불완전한 기둥에 관한 내용은 거의 모든 안정론 책에 기본 예제로 등장하는데 특히 편심하중이 존재하는 기둥의 경우 'Secant 공식'이라고 해서 거의 공식화 되어있고 기술사 시험에도 몇번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미분방정식의 경계조건을 통해 미지수를 산정하는 것과 최대 처짐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삼각함수의 변환에 관한 부분을 거의 외우다시피 해야만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었고, 실제 몇몇 책에는 그 과정에 대해 상세히 기록해 놓기도 했지만 요즘 CAS 기능이 있는 계산기는 그러한 것을 굳이 외우지 않아도 알아서 계산해주니 편리합니다. 최근 Sec..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4교시 3번 (2017. 2. 7.)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4교시 3번 문제는 수평강성과 주기에 관한 구조동역학 문제입니다. (a) 구조물과 (b) 구조물의 수평강성(k)이 동일하다는 것이 키포인트로 풀이를 보면 알겠지만 1교시에 출제되어도 될만큼 쉽고 간단한 문제입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3교시 2번 (2017. 2. 6.)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3교시 2번 문제는 1차 부정정 트러스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모든 부재의 축강성(EA)가 동일하고 부재길이도 사재만 빼놓고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지저분한 스타일의 문제는 아닙니다. 다만 자유도수가 많은데 반해 작용하는 하중은 하나 뿐이므로 매트릭스 응력법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2교시 1번 (2017. 2. 2.) 건축구조기술사 111회 2교시 1번 문제는 프레임 구조물의 해석입니다. 가장 자신있는 매트릭스 변위법으로 풀려고 하니 자유도수도 많고 부재력도 많아서 포기하고, 매트릭스 응력법으로 풀려고 하니 작용하중은 하나밖에 없어서 괜찮은데 부정정력이 존재하는 관계로 bx 매트릭스 구성하기가 복잡해서 그 방법도 여의치 않더군요. 결국 차선책으로 변형일치법을 이용하여 해결했는데 몇가지 처짐공식만 알면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다 풀고나니 대칭모델링을 해서 풀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10회 3교시 1번 (2016. 11. 27.) 건축구조기술사 110회 3교시 1번 문제는 무한강성을 갖는 구조물의 변위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일반적으로 무한강성을 갖는 구조물은 휨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변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매트릭스 변위법으로 풀이를 하게 되면 회전변위가 없기 때문에 자유도가 하나 줄어들어 더욱 편리해집니다. 구조물에 축강성만 갖는 가새로 보강하였을 경우 변위가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의도로 보여지는데 자주 등장하는 스타일은 아닙니다만 토목구조기술사와 건축구조기술사 시험에 비슷한 유형이 출제된 적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토목구조기술사 62회 1교시 12번 - - 건축구조기술사 82회 3교시 1번 - - 건축구조기술사 102회 2교시 1번 -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9회 4교시 3번 (2016. 7. 24.) 건축구조기술사 109회 4교시 3번 문제는 입체트러스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3차원 입체 트러스라는 것만으로도 관련 문제를 많이 접하지 않았다면 부담스러운데 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른 문자로 주어졌기 때문에 뭔가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역대칭으로 모델링 하면 간단하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트러스는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응력법으로 풀이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이 문제의 경우 역대칭으로 모델링 하면 한 절점의 자유도 3개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매트릭스 변위법 풀이도 간단해집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8회 3교시 2번 (2016. 7. 17.) 건축구조기술사 108회 3교시 2번 문제는 등분포 하중을 받는 케이블의 신장량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보통 케이블 문제는 수평력과 최대장력을 구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출제되고 그 다음으로 케이블의 총 길이를 구하는 유형이 대부분인데 케이블의 신장량을 구하는 문제는 제가 아는한 처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구조역학 책이나 제가 가지고 있는 모 기술사 문제집에 케이블의 총길이를 구하는 문제는 처짐비(sag ratio, n)와 무한급수 전개를 이용한 공식으로 풀이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공식이 복잡해서 외우기도 어렵거니와 어쩌다 한두번 나올까 말까한 케이블 총길이에 관한 문제를 풀고자 그 공식을 외운다는 것이 가뜩이나 외울것 많은 기술사 시험에서 공부의 효율적 측면으로 보자면 최악이라고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