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 도전기/건축구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3교시 1번 (2016. 7. 14.)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3교시 1번 문제는 얼핏 보면 어려울 것 같지만 대칭 구조물로 CD 부재의 부재력(압축력)만 구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2교시 2번 (2016. 7. 14.)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2교시 2번 문제는 충격하중에 관한 문제입니다. 충격하중과 관련한 문제는 기술사 시험에서 여러차례 출제된 바 있습니다만 단순보 형태의 충격하중 문제가 가장 많이 출제되었습니다. 이 문제처럼 양단 고정보의 충격하중 문제는 처음 출제되었는데 원리는 모두 동일합니다. 가장 어려웠던 충격하중 문제는 2011년 기술고시 구조역학 제2문의 (c) 형태처럼 일단 힌지, 타단 스프링 지점이었고 건축구조기술사 88회 4교시 5번 문제와 같은 구조일 경우 최대 처짐을 구하려면 계산이 조금 복잡합니다. (물론 그 문제 자체에는 최대 처짐을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최대 처짐을 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 건축구조기술사 88회 4교시 5번 문제 -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8회 2교시 3번 (2016. 7. 13.) 건축구조기술사 108회 2교시 3번 문제는 비탄성 강봉의 변형률에 관한 문제입니다. 순수 재료역학 문제는 기술사 시험에서 그다지 출제비중이 높지 않은데다가 비탄성 재료라는 것 또한 특이할만 합니다. 제 풀이는 고등학교 수학에서 배우는 미분을 이용한 접선의 기울기, 중학교때 배우는 한 점과 기울기를 알때 직선의 방정식 등 역학적 풀이라기 보다는 수학적 풀이에 가까운데 이게 출제자가 의도한 풀이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2교시 1번 (2016. 7. 5.) 건축구조기술사 106회 2교시 1번 문제는 상당히 재미있는 아치 구조의 해석입니다. 반원형 아치에 관한 문제는 그동안 기술사에서 수차례 출제된 적이 있었지만 이 문제처럼 두 개의 아치가 연결된 형태는 처음입니다. 문제에서 두 개의 아치가 B점에서 서로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지점은 이동이 가능한 롤러라는 조건이 주어졌는데 일반적으로 일단 힌지, 타단 롤러인 정정 아치의 경우 지점에서는 수평력이 발생하지 않지만 이 문제처럼 연속 아치의 경우 왼쪽 아치는 오른쪽으로, 오른쪽 아치는 왼쪽으로 벌어지려는 성질로 인해 A점과 C점에는 수평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쌍둥이 구조가 아닌 닮은꼴 형태의 구조라는 것이 특이하고 당초 직관적으로 생각했던 결과와 실제 해석결과가 다르게 나와 잘못된..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5회 2교시 2번 (2015. 5. 17.) 건축구조기술사 105회 2교시 2번 문제는 입체트러스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그간 토목구조기술사에서는 입체트러스 관련 문제가 두어번 출제된 적이 있었는데 건축구조기술사에서 입체트러스 문제가 출제되기는 처음입니다. 트러스의 형상은 대칭 형태의 정정 트러스이지만 하중이 비대칭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칭모델링으로 해석은 곤란합니다. 매트릭스 변위법으로 해석하였는데 평면트러스건 입체트러스건 변형적합매트릭스(Ar) 보다는 평형매트릭스(B)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손쉽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2회 2교시 3번 (2014. 2. 29.) 건축구조기술사 102회 2교시 3번 문제는 단순보형 정정아치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때 전 구간에서 휨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을 아치의 형태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지점이 경사진 형태라 한동안 이 문제로 많은 고민을 했는데 역시 키포인트는 경사지점에 있었습니다. 단순보 형태지만 경사로 인한 수직분력과 수평분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실상 양지점에 수평, 수직 반력이 존재하는 1차 부정정 아치인 셈입니다. 문제를 풀고나니 그제서야 토목구조기술사 64회 2교시 4번 문제로 출제된 "3힌지 아치에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부재력은 축력만 존재한다."를 증명하는 문제가 떠올랐습니다. 결국 건축구조기술사 102회 2교시 3번 문제를 달리 표현하자면 아치 크라운이 내부힌지가 되는 3힌지 아치화..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4회 3교시 1번 (2014. 9. 4.) 건축구조기술사 104회 3교시 1번 문제는 정정 원형 캔틸레버에 하중이 작용할때 변위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보통의 경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변위만 물어보는데 이 문제는 하중이 작용하는 수직변위 뿐만 아니라 수평변위까지도 구해야 합니다. 수직변위만 구하는 문제하면 카스틸리아노 제2정리를 이용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지만 수평변위를 구할수 없기 때문에 가상힘의 원리를 이용하여 한번에 두가지 변위를 계산하는 방법을 취했습니다. 덧붙임 : 풀이 마지막에 수평변위와 수직변위가 뒤바뀌었습니다. 당연히 결과도 바뀝니다. 더보기 건축구조기술사 104회 2교시 6번 (2014. 8. 28.) 이번에 치뤄진 건축구조기술사 104회 문제를 다운받아 봤는데 간단히 총평을 하자면 굉장히 신선하고 놀라웠습니다. 역학분야 문제는 틀에 박힌 문제가 아닌 매우 참신하고 새로운 문제였는데, 그렇다고 지저분한 스타일의 문제도 아니고 마치 기술고시 출제위원이 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건축구조기술사 104회 2교시 6번 문제는 정팔면체로 이루어진 공간트러스의 해석에 관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 또한 그런 류의 대표적인 문제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입체(공간)트러스 문제는 그동안 토목구조기술사에서 몇차례 출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만 기존의 입체트러스 해석 문제와는 달리 이 문제는 정팔면체이고 하중도 위아래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대칭성을 이용하여 풀이하는 것이 핵심이라..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